- 신뢰도, 안전성, 브랜드 이미지 중요 -
□ 상품명 및 기본 정보
□ 선정 사유
ㅇ 중국에서는 0~3살 아이를 영유아로 분류함. 그중 0~1살은 영아, 1~3살은 유아에 해당함. 영유아용 섬유세제란 0~3살 연령을 상대로 한 섬유세제로 일반 세제와의 차별은 주로 석유성분 표면활성제, 표백 성분, 색소, 방부제 등의 성분이 들어 있지 않으며 세탁 후 알칼리성 성분 잔류가 없어야 함.
ㅇ 환경 안전을 중시하는 최근 중국의 부모들(1980, 1990년대 이후 출생)에게 품질이 우수한 유아용 세제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유아용 세제의 종류와 수량이 다양하고 증가하는 중
ㅇ 중국 본토 브랜드의 경우 분유 등 유아용품 안전사고로 신뢰도가 미비하거나 해외제품대비 인지도가 부족한 편임. 현재 유아용품 시장에서 고급 유아세제는 독일, 미국 등 서구권 제품임. 중고급은 한국, 일본 제품으로 가격 품질 등 방면에서 장점을 보유해 중국 시장에서 시장가능성이 유망하다고 볼 수 있음.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2016년 기준 중국 0~3세 인구 수는 총 3900만 명이며, 2014년부터 시행된 중국 정부의 '두 자녀 정책'으로 미래 신생아 출생률이 증가될 전망
ㅇ 중국의 도시 거주민을 중심으로 중고급 유아용품 시장 규모 확대
- 2015년 기준으로 중국 도시 거주민은 7억7116만 명으로 총 인구 수의 56.1% 차지
- 도시 주민은 중국 소비의 주력군이며 젊은 도시 소비자들은 일반적으로 교육을 통해 소비에 대한 의식과 요구가 큰 편임. 특히 육아에 대한 높은 요구사항과 적극적인 소비성향으로 중고급 유아용품 수요가 크며, 이로 인해 중국 중고급 유아용품 시장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판단
ㅇ 유아용품은 기타 소비재 제품과 달리 중국 소비자들이 가격 못지 않게 안정성과 신뢰성, 브랜드 이미지를 중요시함.
- 백화점, 유아용품 전문매장의 신뢰도가 높은 편으로 소비자들이 구매장소로 많이 선택
- 해외 제품에 대한 선호로 최근 국제 직구 전문 사이트의 시장점유율이 쾌속 성장 중
ㅇ 1인당 유아용품 소비액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는 추세임.
- 유아용품 소비와 연관된 중국 가정 구조는 4+2+1임(양측 조부모, 부모, 아기).
- 2016년 기준 1인당 유아용품 소비액은 1억4038만 위안으로 매년 12.7%씩 성장
ㅇ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 대한 수입동향
ㅇ 세제(HS Code 340220 기준)분야 중국의 한국에서의 수입액은 2015년 3184만5000달러, 2016년 4065만5000달러로 27.7% 증가함.
□ 경쟁기업 동향
□ 유통 구조(참고)
□ 시사점
ㅇ 중국은 인구 대국일 뿐만 아니라 최근 1인당 GDP 및 구매력 증가로, 소비력도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상황임. 이에 따라 유아를 비롯한 자녀에 대한 소비 및 투자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 또한 중국 정부의 '두 자녀 정책' 시행으로 향후 유아용품 시장의 지속확대가 전망됨.
ㅇ 중국의 유아용품 소비시장은 매년 평균 12.7%의 성장을 유지하는 중요한 시장임. 유아용 세제는 육아중 기본 구비 사항으로 인식되고 있고, 친환경 안전상의 요구수준이 제고되고 있으며, 수요와 제품의 다양성이 확대되고 있음.
ㅇ 중국은 로컬브랜드 제품의 각종 유아용품 안전사고로 인해 현지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가 낮아 아직은 수입제품시장이 확대돼 왔지만 현재 Kaimi, Blue moon 蓝月亮 등 중국 업체들의 성장이 두각을 보이고 특히 가격경쟁에서 경쟁력을 보이고 있어 향후 중국산의 시장점유율이 점점 높아질 전망
ㅇ 협력 파트너를 통한 지속적인 브랜드 홍보가 중요한 유아용 세제 시장
- 독특한 기술적 요구가 높지 않은 세제 제품은 소비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함. 유아용 세제분야에서 품질, 안전성, 가격 등 요소가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브랜드 인지도를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임(경쟁브랜드가 다양하고 많으므로 쉽게 시장 대체가 가능함).
- 전통적인 광고 홍보 외 대리상, 소매상 등 유통업계 협력파트너 관리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도 중요함. 각 전자상거래 유통상, 소매상 들과의 전략적인 협력을 거쳐 제품을 시장에 지속 투입 노출해 홍보 마케팅 강화 필요
ㅇ 수입제품은 관세, 인건비 등 원인으로 가격면에서 중국 로컬 브랜드와 경쟁력이 미비. 기술력과 차별화를 통해 중고급 브랜드를 어필하는 제품 포지셔닝이 필요
ㅇ 중국 업체의 선제적인 지재권 등록에 대비해 타 생활용품 분야와 마찬가지로, 지재권분야 상표 디자인 출원을 기본 선결사항으로 준비하고, IP-Desk 서비스의 이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무역협회, 바이두, 타오바오사이트, JD등 KOTRA 시안 무역관 자료 종합
플러스광고
전체의견 수 0
Today 핫이슈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