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부 및 외모 관심 제고로 시장규모 꾸준히 확대 -
-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부문의 차별화로 소비자 공략해야 -
□ 상품 기본정보 및 관세율
□ 선정 사유
ㅇ 마스크팩 시장 지속 성장 전망
-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Nielsen의 발표에 따르면, 중국 마스크팩 시장은 2014~2016년 연평균 24.6%의 성장률로 1위를 차지
- 2016년 온라인 유통 마스크팩 매출 150억 위안 돌파, 전년대비 26% 성장함.
- 특히 한국 마스크팩은 2016년 기준 온라인 판매 점유율 10.5%로 로컬제품에 이어 2위를 기록했으며, 유럽 및 미국은 3.7%, 일본은 1.2%로 큰 격차를 보임.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중국 마스크팩 시장은 꾸준히 확대하는 추세
- 유로모니터의 조사에 따르면, 2016년 중국 마스크팩 매출액은 전년대비 14.1% 증가한 180억7100만 위안임.
- 2021년 매출액은 280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며, 2016~2021년 CAGR 9.2%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ㅇ 가격대로 구분 시 중저가와 고가 마스크팩 매출액 역시 꾸준히 증가세에 있으나, 전체 마스크팩 시장 내 점유율에서는 다소 큰 격차를 보임.
- 2016년 중저가 마스크팩 시장규모는 약 157억 위안을 기록, 전년대비 14.3% 상승했으며 전체 마스크팩 시장의 86.8%를 차지함.
- 고가 마스크팩 시장규모는 약 24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3.1% 상승했으며, 전체 마스크팩 시장의 13.2%를 차지함.
- 마스크팩은 종류 및 유형별로 큰 가격 차이를 보임. 시트팩의 중저가는 주로 5위안 내외이며, 고가 제품은 20위안 내외로 다양함.
- 이 외 필오프 및 슬리핑팩일 경우 중저가 가격대의 마스크팩은 40위안 내외, 고가 마스크팩은 200위안 내외로 다양함.
ㅇ 마스크팩 유형별 수요 현황
- 제일재경 경영정보대학원에서 티몰 TOP 뷰티 브랜드와 연합해 출간한 '2017 마스크팩 발전추세 빅데이터 보고서'에 따르면, 시트팩이 여전히 전체 마스크팩 시장 내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나 최근 하락세를 보임.
- 반면, 기타 유형의 마스크팩 시장이 꾸준히 상승세를 보임. 소비자들의 마스크팩 유형에 대한 수요층이 점차 다원화되고 있음을 의미
- 2016년 필오프팩 및 클레이팩 매출액은 전년대비 각각 86%, 42% 증가
ㅇ 유형별 마스크팩에 대한 연령별 선호
- 20, 30대 여성은 대부분 직장인 혹은 산모로, 간편하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시트타입의 팩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반면, 40대 이상 여성들은 자기관리에 훨씬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으며, 피부노화 방지 차원에서 워시오프팩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마스크팩 기능별 수요 현황
- 2012~2016년 비화이트닝 마스크팩 시장은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였으나, 화이트닝 기능의 마스크팩 시장은 소폭의 감소세를 보임.
- 2012~2016년 5년간 비화이트닝 마스크팩은 전체 마스크팩 시장의 63.5%를 차지
- 반면, 화이트닝 마스크팩은 점유율이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며 36% 미만으로 하락
- 기초케어부터 피부 심층 관리까지 마스크팩 기능에 대한 수요는 증가세를 보임.
- 미백, 보습 기능의 마스크팩 시장은 여전히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나 증가속도는 더딘 상황임.
- 반면, 2016년 모공관리(노폐물 제거 및 탄력케어) 기능 마스크팩은 전년대비 30% 이상 증가했으며, 리페어 기능 마스크팩은 전년대비 43% 성장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임.
- 한편, 모공관리 및 리페어 등 2종 기능 동시 함유 마스크팩의 증가율은 57%로, 소비자들은 기능에 주목하고 가격이 제품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가 아님을 알 수 있음.
ㅇ 최근 3년간 중국 마스크팩 수입규모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 2016년 수입액은 35억8404만 달러로 전년대비 31.7% 증가했으며, 2017년 1~7월까지 수입액은 24억2352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6.8% 증가함.
- 최근 3년간 최대 수입국은 한국, 프랑스, 일본, 미국임.
- 2016년 대한 수입액은 10억2863만 달러로 전체 마스크팩 수입규모 중 28.7%의 비중을 차지해 최대 수입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프랑스, 일본, 미국이 그 뒤를 이음.
□ 인증절차 및 제도
ㅇ 인증제도
- 모든 수입화장품(특수 및 비특수)은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 CFDA 위생허가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함.
- 절차: 샘플 및 자료 준비 → 송부 및 검사 → 심사자료 준비 → 신고 → 허가신청서 수령
ㅇ 준비서류
- 수입화장품 위생허가 신청서
- 제품 포뮬러(产品配方)
- 효능성분, 사용 근거, 효능성분의 검측방법(특수용도 화장품)
- 생산공정 및 다이어그램
- 제품품질표준(기업표준)
- 위생부에서 지정한 화장품 검사기관에서 발행한 검사보고서
- 제품포장(제품라벨 포함)
- 제품설명서
- 수탁인 신청 시 위탁신고 관련 위탁서를 제출
- 생산국(지역) 내 제품의 생산 및 판매 허락 관련 증명서
- 광우병 사례가 있는 국가 혹은 지역 내 생산제품은 반드시 공식검역증명서 제출
- 심사에 필요한 기타 참고자료
- 미개봉 샘플 3개
□ 전망
ㅇ 중국 시장 내 마스크팩 침투율은 이미 한국, 대만을 넘어서 세계 최대 소비시장으로 도약
- 지속적인 시장교육을 토대로 소비자들의 구매율 및 사용빈도 촉진
- 마스크팩 소재의 다양성 추구, 특히 성분, 기능 및 포장의 차별화를 통해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늘려야 함.
ㅇ 유통환경의 디지털화 및 스마트폰의 보급 확산으로 이를 통한 고객 유입이 확대되면서 디지털 채널이 지속적으로 성장
- 차별화된 판매루트 및 제품전략 구축을 통해 기업 간의 불필요한 경쟁을 방지하고 브랜드 가치를 부각
-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웨이보 및 위챗 등 다양한 루트 활성화를 통해 브랜드 홍보에 힘쓸 필요가 있음.
**자료원: 유로모니터, Mintel, Nielsen, Sohu, 무역협회, 바이두, 중국 관세청,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이윤식 중국 상하이무역관
플러스광고
전체의견 수 0
Today 핫이슈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