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강 김철(一江 金澈,1886.10.15~1934.6.29)
1915년 명치대학법학부졸업
1917년 상하이로 망명
1918년 8월 신한청년당 창당 부주무
1919년 의정원 의원(법무,재무위원)
1919년 8월 임시정부 교통부차장,교통부총장대리.
한국독립당 이사, 대표, 임시정부 회계검사원검사장, 무임소장,의정원자격심사위원, 군무장,재무장, 국무원비서장 역임.
전남 함평군 신광면 함정리 609번지에서 부친 김동진과 모친 전주이씨 사이에서 4남 1녀중 3남으로 출생하였다. 어려서는 한학을 공부하고, 1905년 을사보호조약 이후 그는 신학문을 배워야 극일할 수 있다는 신념에서 1908년 영광읍소재 광흥중학교를 졸업하고, 1912년 서울에서 경성법률전수학교를 졸업하였고, 1915년에는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學) 법학부를 졸업하고 귀국했다. 고향에 와서 제일 처음 한 일은 형제들과 상의해 노속들에게 토지 일부를 떼어주고 집으로 돌려 보내는 것이었다.
1917년 2월 나라를 잃은 설음에 분노하여 구국의 일념으로 중국상하이로 망명하였다. 1918.8.20. 중국상하이 프랑스조계 백미로 25호에서 여운형, 장덕수, 김철, 조동호, 선우혁, 한진교 등 6명이 발기인이 되어 신한청년당을 창당하였다. 신한청년당 부주무로서 기관지「신한청년」을 발간 독립정신을 고취하였으며 대한적십자회의 상의원도 역임하였다.
1918년 11월 중국상하이에서 미국대통령 윌슨의 특사 크레인을 초청하여 만찬회를 열어 만찬회석상에서 여운형, 김철, 장덕수, 신국권등이 만나서 자주독립을 요청하는 의견을 교환하고 윌슨에게 보내는 대한의 자주독립을 요청하는 청원서를 전달하였다. 1919년 여운형, 김철, 김규식 등이 협의하여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여 대한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1919년 1월 신한청년당을 중심으로 각국에 독립을 선언함과 동시에 서병호, 선우혁과 같이 국내에 밀입국하여 자신의 전답을 정리하여 독립자금 1만원을 마련하여 상하이로 가져가 독립운동 동지들의 생활을 원활하게 하였으며, 동년 2월 서울에서 손병희 선생을 만나 3만원의 독립자금 지원을 언약 받고, 3.1만세운동 거사를 계획하고 상하이로 건너갔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상하이에서 신한청년당을 중심으로 이동녕(李東寧), 이시영(李始榮), 조완구(趙琬九), 신익희(申益熙), 신석우(申錫雨), 조동호(趙東祜), 신규식(申圭植), 선우혁(鮮于爀), 한진교(韓鎭敎) 등과 함께 상하이시 보창로 불란서 조계내에 대한독립임시사무소를 설치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1919년 4월 10일 제1회 임시의정원회의에서 의정원의원(전라도 대표)에 선임되었고,같은 달 제2회 임시의정원회의에서 임시정부 재무위원겸 법무위원이 되었다.
1919년 8월에 임시정부 교통부차장에 임명되었고, 총장 문창범이 취임하지 않아 교통부총장대리로서 총장 직무를 수행하였다. 1920년 1월에 그는 김구 등과 같이 의용단(義勇團)을 발기해 독립운동에 박차를 가하고 의용단 산하 선전위원회가 조직되자 위원장 안창호를 도와 선전업무에 종사하였다.
그러던 중 임시의정원과는 별도로 안창호 등이 국민대표회의 소집을 요구했다. 그결과 양자간에 갈등이 일어났다. 급기야 1922년 7월에는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가 만들어 지고 김철은 시사책진회 회원으로 임시의정원과 국민대표회의간의 갈등 조정에 들어가 갈등을 해결에 기여하였다. 국민대표회의는 규정을 만들어 공포한다. 이런 활약이 높이 평가되어 그는 1924년 5월에는 임시정부 국무원 회계검사원 검사장에 임명되었다. 1926년 12월 김구(국무령)내각 국무위원에 임명되었고, 1927년 8월 이동녕 내각 군무부장에 임명되었다.
1930년 7월 조직된 한국독립당의 14인 이사 중의 한명으로 활약하였다.
같은해 12월 새 헌법에 의하여 임기가 만료 제2차 내각구성에서 군무부장에 재임명되었고, 1931년 10월 도산 안창호 선생과 함께 대한교민단(大韓僑民團)심판이 되어 상하이교민의 복지향상에 전념하였다. 같은해 11월 중국인과 공동항일전선을 형성하여 한중항일대동맹을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조소앙과 중국인 오징천,서천방 등과 함께 상무위원으로 활동하였다.1932년 1월 상하이 대한교민단(大韓僑民團)의 정치위원으로 선출되고,같은 해 11월 국무위원에 임명되었다.
1932년 1월 8일 이봉창의사의 일황 저격사건과 동년 4월 29일 윤봉길의사의 중국 홍구공원에서의 백천대장 등 일본인 폭살 양대 의거를 당시 군무장으로서 백범 김구 선생과 같이 주도하였다. 이 사건 이후 일경의 추격이 급박해지자 상하이에 있는그의 친지인 미국인 피치목사의 집 2층에 백범, 엄항섭, 안공근과 같이 피신해 있었다.
같은해 5월 10일 상하이임시정부를 항저우로 이동하여 선생의 숙소인 항저우시 소재 청태(淸泰)제2여사(第二旅社)32호실에 임시정부판공처(臨時政府判公處)를 설치하여 임시정부 항저우시대를 개막하였다. 동년 5월 16일 항저우에서 첫 국무회의에서 선생은 재무장 에 김구선생은 군무장에 임명되었다.
1933년 7월 임시정부 의정원 자격심사위원으로 신도의원의 자격을 심사하였다.
같은해 신한독립당•조선혁명당•의열단과 함께 결성한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에 한국독립당의 대표로 참석하기도 했다
1934년 1월 3일 제3차내각(주석 양기탁) 무임소장에 임명되었다.
같은해 4월 2일 국무원비서장에 선출되어 임시정부의 이동에 따라 각지를 전전하면서 오로지 조국광복을 위하여 고군분투하며 기력이 다 할때까지 분골쇄신하였다. 한때 김구와 맞선 조소앙(趙素昻)과 제휴하였다.
1934년 6월 29일 중국 항저우(杭州)소재 광지병원에서 격무에 시달려 몸이 쇠진하여 급성폐염으로 순국하였다. 이시영, 조완구, 송병조, 양기탁 등 임정요인들의 애도속에 악비묘(岳飛廟) 뒷산에 안장되었다. 사실 일강은 상하이에 망명하기 전에 고향에서 김해김씨 부인과 혼례를 치루고 부인은 고향에 남아 있었다.
상하이에서 일강으로부터 "나는 조국 독립을 위해 기꺼이 이 한몸 조국에 받쳤으니 더 이상 찾지도 기다리지도 말고 부인께서는 앞날을 알아서 처신하시오"라는 서신을 받고 "부군이신 선생께서 가족 걱정없이 오로지 독립운동에 전념토록 하기위해 죽는길 밖에 없다"고 결심하고 이곳 집뒤에 있는 단심송(斷心松)에 목을 메어 순절하고 말았다.
그후 상하이에서 조산원이던 최혜순(崔惠淳)여사와 혼인하여 미경, 혜경 등 두딸을 남겨 두었다. 1962년 건국공로훈장(독립장)이 추서 되었다.
<주요 연설문>
신념의 감상 ‘新年의 感想’
「교통부총장대리 (交通部總長代理) 김철씨 담(金澈氏 談)」
작년(昨年)을 돌아보면 참 감개무량(感槪無量)하오 나도 비재(菲才)로 최초(最初)부터 제형배(諸兄輩) 동지(同志)로 더불어 독립운동(獨立運動)의 획책(劃策)의 말석(末蓆)에 참여(參與)하는 영광(榮光)을 득(得)하였거니와 과거(過去) 우리 동포(同胞)의 충성(忠誠)되고 용감(勇敢)한 활동(活動)은 더 감사(感謝)할 말이 없습니다.
다행(多幸)히 우리 동포(同胞)의 애국심(愛國心)과 단결력(團結力)은 더욱 작열(灼烈)하고 임시정부(臨時政府)의 기초와 각원(各員)의 화합(和合)도 더욱 공고하며 대정(大政)의 방침(方針)도 연말(年末)까지에 확립(確立)하였으니 今年부터는 前年에 배사(倍徙(艸)한 대활동(大活動)이 있을 줄 믿습니다.
그러나 정부(政府)만으로 어찌 하겠습니까 내외(內外)의 각단체(各團體)와 국민(國民)이 일심일체(一心一體)가 되어 일일(一日)이라도 바라는 대사업(大事業)을 성취(成就)하기에 육력(戮力)하기를 바랍니다.
▶교통부총장대리( 交通部總長代理) 김철(金澈)의 1920년 신년감상(독립신문 대한민국2년(1920)1월 10일 2면)
<주요 유적지>
전남 함평군 신광면 함정리 546-2「일강 김철선생 기념관」(2003.6.28)과 생가
전남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 불갑사입구「임시정부 국무위원 일강 김철선생기념비」(1984.6.28)
전남 함평군 신광면 함정리 지경재「일강 김철선생 숭모비」(1975.8.15)
전남 영광군 불갑면 모악리 산47 「유조선국 영산김씨세장비」(1919.10.)(전남문화재 제14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