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해외직구 붐… 중국 온라인 시장 지각변동

[2014-03-20, 11:10:26] 상하이저널
온라인이 발전하면서 세상을 새롭게 움직이는 비즈니스 모델이 여럿 만들어졌지만, 세상에 절대선(绝对善)은 없다는 말처럼 전통적인 방식으로 거래를 하던 중간 유통업체들은 꽤 머리가 아프다. 끄덕없을 것만 같던 내 파이가 어느 날 갑자기 공중분해된 격이기 때문이다. 그 중심에 해외직구가 서 있다. 중국에서 팔리는 제품이 한국에서는 얼마인지도 모르고 사는 것은 이제 옛말이고, 인터넷으로 가격 조회하고 외화신용카드로 결제를 하고 나서 배송대행업체에게 물건 잘 검수해서 보내달라고 QC까지 맡기는 세상이 도래했다.

중국에서도 직구가 빠르게 늘면서 온라인쇼핑몰들이 직구사이트를 오픈하느라 여념이 없다. 중국의 해외 구매대행 거래는 2013년 744억 위안으로 2012년에 비해 54%나 늘었다.

알리바바는 지난 2월 해외 직접구매 플랫폼인 티몰글로벌(중국어로는 天猫国际) 서비스를 시작했다. 티몰글로벌에 입점하는 업체는 모두 국외업체들이고 국내에서 운영되는 티몰처럼 소비자와의 실시간 소통을 위한 중국어 아리왕왕서비스를 갖춰야 한다. 해외신용카드가 아니라 즈푸바오로 결제가 가능한 것이 티몰글로벌의 가장 큰 장점이다.
 
구매결제창에 구매하려는 제품 가격이 환율로 계산되어 위안화로 환산되어 나타나며 이것을 즈푸바오로 결제하면 되는 것이다. 사실 알리바바는 직구사이트를 열기 전부터 중소 구매대행업체를 위한 타오바오췐치우고우(淘宝全球购) 서비스를 하고 있었다. 티몰글로벌이 아직까지는 큰 성과를 보이지 않아 속단하기는 어렵지만, 이 사이트의 등장으로 타오바오췐치우고우가 가장 난감하게 생겼다.
 
두 개의 태양을 인정하지 않는 대표적인 업종이 인터넷 업계이다보니 둘 중 하나가 정리될 가능성이 농후하고 게다가 이 둘은 알리바바 글로벌 B2C사업부 소속으로 한 사업부에서 캐릭터 겹치는 두 사업모델이 동침하는 격이니 알리바바의 비즈니스 조율능력이 호사가들의 입에 오르내린다.

알리바바 이외에도 중국에는 하이타오청(海淘城), 메이궈고우우왕(美国购物网), 양마토우(洋吗头) 같은 해외구매대행 사이트가 있고 쑤닝(苏宁)이 인수한 훙하이즈(红孩子) 역시 해외E구매서비스를 오픈해 해외 육아용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티몰글로벌이 운영을 시작한지 한 달 남짓 지났다.
 
그간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한국, 일본, 타이완, 홍콩 등지의 140여 개사가 티몰글로벌에 입점했고 디올, 루이비통, 프라다, 안나수이, 카렌밀렌, NYR가 입점했다고 한다. 명품 브랜드의 입점이 눈길을 끌지만 알리바바의 명성을 놓고 볼 때 140개사라는 입점 실적은 예상을 훨씬 밑돈다.
 
중국에 진출한 업체로서는 기존 거래상들과의 관계가 걸릴 것이고, 미진출 업체로서는 지금 무턱대고 직구사이트에 입점했다가 나중에 본격적으로 중국에 유통망을 꾸리게 되면 가격이나 제품 포지셔닝에 영향을 받을까봐 고민이 많을 것이다.

‘별그대’로 홍췐루는 명동이나 인사동을 옮겨온 것처럼 변했고 한국제품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우리 글자가 써 있는 제품이 아니라 한국에서 고스란히 만들어져 중국으로 배송된 제품을 찾는 중국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현상은 우리에게 또 다른 기회가 다가온다는 것을 시사한다.
 
나는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인 시트립 사이트에 접속하고 무척 놀랐다. 중국어를 몰라도 시트립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을 만큼 한국어 버전을 완벽하게 서비스할 뿐만 아니라 여행상품 외에도 서울에 대한 전체 가이드부터 먹거리, 쇼핑가 등 자신들의 비즈니스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정보까지 담고 있었다.
 
이 모든 것이 자기 플랫폼으로 여행객을 끌어들이려는 밑밥일 것이다. 한국산 소비재가 최대 호기를 맞은 우리는 전자상거래가 오프라인 유통을 위협하는 이 시기에 기회를 잡기 위해 그간 밑밥을 얼마나 깔아놨는지 같이 고민해 봤으면 한다.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KOTRA 상하이무역관 조사총괄 차장이며, KOTRA 중국직무전문가를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외대 중국학(중국경제) 석사를 거쳐 중국 런민(人民)대학에서 경영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중사회과학학회 이사로 활동 중이며 KBS 박경철의 경제포커스, 성기영의 경제투데이 등 다수의 언론매체에서 중국경제를 해설하고 조선일보사 TOP CLASS의 '중국의 떠오르는 CEO'편 필진으로 활동했다. 중국 거시경제, 지역경제, 기업관리, 마케팅에 조예가 깊으며 저서로는 <중국경제, 다시 읽어라(더난출판)><중국 CEO, 세계를 경영하다(서돌)><중국 비즈니스 로드맵(KOTRA 刊)>, <중국 성시별 비즈니스 기회와 진출전략(KOTRA 刊)> 등 9종이 있다.
claire@kotra.or.kr    [김명신칼럼 더보기]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중일 경제관계의 현주소 hot 2014.02.27
    [김명신의 중국에 답하다]요즘 중국인들은 일본을 두고 입버릇처럼 샤오르번(小日本)이라고 부른다. 일본에 대한 정서적 앙금이 누그러지기는커녕 켜켜이 쌓여가는 모습이..
  • 비호감을 호감으로, 음지를 양지로 바꾸는 중국 마케.. hot 2014.01.29
    [김명신의 중국을 답하다] 요즘 다소곳한 사람들이 많아졌다. 엘리베이터에서도, 길을 걷다가도, 심지어 다 같이 모인 자리에서도 짬만 나면 고개를 숙이고 자아성찰의..
  •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의 진화가 주는 의미는? hot 2013.12.18
    [김명신의 중국을 답하다]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의 진화가 주는 의미는? 중국에서는 은행도 인터넷쇼핑몰에 점포를 연다. 5만개 점포와 7억명의 고객을 거머쥐고 있는..
  • ‘식안세평(食安世平)’과 시장기회 hot 2013.11.21
    [김명신의 중국을 답하다]인스턴트 라면을 발명한 대만계 일본인인 안도 시로후쿠는 여러 어록을 남겼는데 그중 하나가 ‘식족세평(食足世平)’이다. 먹을 것이 풍부해야..
  • 중국 휴대폰 최강자 지위 다툰다 hot 2013.10.28
    [김명신의 중국을 답하다] 중국 스마트폰 시장경쟁이 치열하다. 금구은십(金九銀十)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소비가 특수를 이루는 9월과 10월 시장을 잡기 위해 브..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빙그레 ‘바나나맛우유’ 50살 생일!..
  2. 韩-中 하늘 길 넓힌다... 대한항공..
  3. 상하이 홍차오-푸동공항 급행열차 9월..
  4. 韓 배터리 공장 화재로 중국인 17명..
  5. 동방항공, 당일 취소해도 ‘전액 환불..
  6. 中 쑤저우서 셔틀버스 기다리던 일본인..
  7. 가격 ‘뚝’ 떨어진 마오타이주, 여기..
  8. 여름철 호캉스로 무더위 날리자! 상하..
  9. 中 ‘세포배양육 쌀’ 개발 성공.....
  10. [상하이의 사랑법 14]사랑이 식었을..

경제

  1. 빙그레 ‘바나나맛우유’ 50살 생일!..
  2. 韩-中 하늘 길 넓힌다... 대한항공..
  3. 가격 ‘뚝’ 떨어진 마오타이주, 여기..
  4. [차이나랩] 中 유니온페이, 위챗 결..
  5. 中 전기차 충전소 1000만 대 육박..
  6. 中 올해 1분기 결혼·이혼 모두 감소..
  7. 中 인공지능 기업 4000개, 핵심..
  8. 中 택배사, ‘618’ 업고 5월 물..
  9. 화웨이가 개발한 홍멍(鸿蒙), 中 2..
  10. 中 세계 최초 주1회 인슐린 사용 승..

사회

  1. 상하이 홍차오-푸동공항 급행열차 9월..
  2. 韓 배터리 공장 화재로 중국인 17명..
  3. 동방항공, 당일 취소해도 ‘전액 환불..
  4. 中 쑤저우서 셔틀버스 기다리던 일본인..
  5. 中 ‘세포배양육 쌀’ 개발 성공.....
  6. 상하이, 5월 유행 전염병 1위 ‘백..
  7. 中 여성에 수면제 먹인 뒤 성폭행한..
  8. 쑤저우 셔틀버스 칼부림 막은 中 여성..

문화

  1. ‘상하이 호반 국제 뮤직 페스티벌’..
  2. [책읽는 상하이 243] 줄리언 반스..

오피니언

  1. [Dr.SP 칼럼] 지구온난화 속 무..
  2. [무역협회] 인도의 중국 '디커플링'..
  3. [상하이의 사랑법 14]사랑이 식었을..
  4. 2024 화동조선족주말학교 낭송·낭독..
  5. [무역협회] 신흥 산업 발전, 중국이..
  6. [금융칼럼] 중국银联 ‘유니온페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