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독자투고>상해한국문화원에서 ‘Mr. Gomg’s Hair Salon’를 보고

[2009-06-09, 11:28:41] 상하이저널
지난 단오연휴에 아이들과 함께 대구시립예술단에서 공연한 ‘Mr. Gomg’s Hair Salon’를 보러 갔다.
상하이에 생활하면서 문화와는 거리가 멀었던지라, 마임극을 무료로 볼 수 있다는 것과 평소 한번 가보고 싶었던 상해한국문화원 구경도 할 수 있다는 생각에 일찌감치 집을 나섰다.
일찍 서두른 덕분에 공연시작 40여분 전에 문화원에 도착했지만 자리를 잡고 앉아 있으려니 문화원을 둘러볼 여유는 없었다. 지정석이 아니다 보니 혹시라도 누가 이 자리에 앉을까 걱정이 되어 자리를 비울 수가 없는 것이다. 나름 옷이며 가방으로 자리를 지키게 해볼까 했지만, 누가 그냥 자리만 잡은 것처럼 보일까 전전긍긍하다 그만 번갈아 자리를 지키고 있자니 흥이 사라져 그만 모두 공연을 기다리며 누가 공연을 보러 오는지 구경하게 된다.
연극이 시작되기 전 목소리가 우렁우렁한 분이 두 손을 번쩍 들게 하더니 한국사람에게는 ‘중국 만세’를, 중국사람에게는 ‘한국 만세’를 시킨다. ‘아하~, 만세 하나로 친밀감을 느끼게 하는 방법이 있었구나’ 싶어 나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관객석으로 강아지 탈을 쓴 사람의 등장으로 연극이 시작되자, 아이들은 좋아서 깔깔깔 쉴새 없이 웃고 있다. 어른인 나는 사실 그다지 웃기지 않은 장면에서도 아이들은 마냥 즐거워 보이는 웃음을 쏟아냈고, 아이들이 웃는 소리를 듣고 있으려니 정말이지 너무 즐거워졌다.
극이 끝나고 배우들이 가면을 벗자 땀으로 범벅인 얼굴이 보였다. 관객인 나도 약간 덥게 느껴진 공연장이었기에 가면까지 쓰고 뛰어다닌 배우들은 얼마만큼 더웠을 것인지 무료공연이라고 좋아했던 내가 순간 부끄러워졌다.
공연이 끝나고 배우들과 같이 사진 찍을 수 있는 포토타임을 갖자 아이들이 총알 같이 뛰어 나간다. 즐거웠던 만큼 사진을 같이 찍고 싶은 마음인가 보다. 줄을 서서 배우들과 같이 사진을 찍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이제껏 마임극을 직접 본 것은 처음이라는 사실이 떠올랐다. 상하이까지 와서 평소 보지 않았던 장르의 한국의 공연을 볼 수 있었다는 것이 고맙게 느껴졌다.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아줌마이야기>추모(追慕)‏ 2009.06.02
    토요일 아침에 일어나TV를 켰습니다. 노전대통령 사망이라는 뉴스 기사에서도 전혀 감을 잡지 못했습니다. ‘누가 죽었길래’하고 남편과 얘기를 하는데 노무현 전대통령..
  • <독자투고> 똰우(端午), 강릉단오제 차이는 무엇? 2009.06.02
    슈퍼마켓이나 시장, 거리에서까지 쭝즈의 향기가 퍼지는 단오가 왔다. 찹쌀에 다양한 종류의 소를 넣어 찐 쭝즈는 단오를 맞아 중국에서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최근..
  • <아저씨 이야기>축구와 인생이 비슷한 점 2009.05.25
    축구를 국기로 삼는 나라가 몇이나 될 까? 매니아들이야 얼마만큼은 꿰고 있을 터, 대한의 건아 박지성 선수가 뛰는 영국이라든지, 월드컵 때마다 우승1순위 후보인..
  • [독자투고]‘스킨’ 다음에 ‘로션이 아니라고?’ 2009.05.25
    며칠 전 인터넷에서 놀라운 기사를 봤다. 이 기사는 화장품 회사에 다녔던 사람이 쓴 이라는 책을 소개한 글로, 많은 여성들이 피부에 좋을까 순서 지켜 꼬박꼬박 발..
  • [독자투고]로운 것에 도전하는 나의 마지막 얘기 2009.05.19
    참으로 힘든 결정이었다. 어찌 보면 나중에 후회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금 선택한 거에 대해서 후회 없도록 나는 달려갈 것이다. 지난 몇 년간의 직장 생활은 나에..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중산산 농부산천 회장, 8조 들여 대..
  2. 中 디지털 제품 ‘15%’ 국가 보조..

경제

  1. 중산산 농부산천 회장, 8조 들여 대..
  2. 中 디지털 제품 ‘15%’ 국가 보조..

사회

문화

  1. 을사년, 상하이 춘절 등불축제 다 모..
  2. [책읽는 상하이 268] 자기 앞의..
  3. [책읽는 상하이 269] 자기 앞의..

오피니언

  1. [상하이의 사랑법 21] 작가의 사랑..
  2. [허스토리 in 상하이] ‘이상한 힘..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