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독자투고]액땜

[2010-01-22, 10:31:00] 상하이저널
어제 오후, 룽바이(龙柏) 시장을 찾았다가 돌아오는 길, 평소 웬만하면 운동 삼아 걸어오는 코스인데, 날씨도 꽤 쌀쌀하고 비닐봉지 과일 등도 귀찮아 1위엔 짜리 시내버스(古华线)로 귀가 길에 올랐다.

평소보다 한가한 버스 안, 안내양 뒤쪽 좌석 한 켠에 앉았다.

무심코 옆자리(빈자리)를 둘러본 순간 통로 건너 바로 옆자리 안쪽 자리에 하얀 1위엔 짜리 동전 3개가 흘러 있는 게 보였다.

내가 앉은 뒤쪽엔 손님이 아무도 없었다. 주워야 할지 말지 잠깐 망설이다 그냥 못 본 걸로 하고 시선을 돌렸다.

예전 같았으면 냉큼 자리를 옮겨 얼른 내 주머니로 넣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소탐대실(小貪大失)의 결과를 몇 번 경험한 적이 있고, 무엇보다 액땜, 비슷한말로 ‘물상대체(物象代替)’의 결과를 실감한 후부터는 가끔 보는 주운 돈 그것도 액수가 아주 적은 돈일 경우 가급적 내 것으로 하지 않으려 노력한다.

운(运)에서 큰돈이 들어와야 할 시기에, 큰돈을 기다리고 있는 시기에 작은 돈이 먼저 들어와 버리면, 그걸로 큰돈 들어올 일이 대체되어 버릴 수 있다는 역학(易学)이론 이기도 하다.

특히 별 소득 없이 얻게 되는 공돈일 경우 그 영향은 더 크다고 보기도 한다.

남자의 경우, 특히 사업으로 수천만, 수억의 큰돈 결재를 기다리고 있을 때, 여자 관계, 특히 내 것이 아닌 여자를 함부로 취하게 되는걸 가장 금기로 한다는 걸 아는 사람은 알고 있을 것이다.

역(易)에서 남자의 경우 돈, 즉 재물(財物)과 여자를 같은 신(神)으로 보기 때문이고 또 실제 그렇게 된다. 남자의 경우 재신(財神)이 좋을수록 처복(妻福, 女子福)이 좋다.

처(아내)를 가르키는 재신(財神)이 구겨져 있을 경우, 예를 들어 재성이 刑, 沖, 破, 害 등의 충격과 殺 등을 내포한 경우, 미리 그 흉(凶)함을 겪은 사람 등을 처(妻)로 하는 경우, 흉살(凶殺)의 의미를 액(厄)땜 한 것으로 보며, 역학적 점잖은 용어가 바로 ‘물상대체’라는 말이기도 하다.

옛날 어릴 적 동네길바닥을 뒹굴고 놀다, 만에 하나 엎어져서 코피라도 터트리고 울며 들어 왔을 때, 조심성 없음에 대해 큰소리로 나무라고, 꾸짖던 할머니들도 결국, “앗다 잘됐다, 그 정도로 금년 액 땜 잘 넘긴 기다. 울지 말거라 그만”으로 결론 짓던 얘기도 전혀 빈말이 아니다.

동전 얘기로 돌아 가자.

내가 시선을 외면하고 있는 동안 그 다음, 다음 정거장에서 초등 3-4 학년 쯤 돼보이는 학교 트레이닝복 입은 중국 남자애들 둘(이 후다닥 버스에 올라 내 옆자리에 앉자마자, 먼저 앉게된 녀석이 행여 친구라도 볼 새라 잽 싸게 동전을 움켜쥐어 손바닥 안에 감싸 쥐며,
내 눈치, 옆자리 제 친구눈치 힐끔 봐가며 좋아하든 모습에 은근한 쓴웃음이 지금도 돈다.

난 속으로 “앗다 잘됐다. 행여나 희멀겋고 건장한 청장년이나, 밉살스런 어떤 아줌마가 주워서 인 마이 포켓 하는 것보다는 훨씬 다행 아닌가”고 난 다음 역에서 내렸다.

▷한성희(hn088@hanmail.net)

ⓒ 상하이저널(http://www.shanghaibang.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아줌마이야기] 포기할 수 없는 한가지 2010.01.23
    요즘은 마치 외모 지상주의 란 말이 걸맞듯이 남녀노소 막론하고 외모를 가꾸기에 많은 부분을 투자(?)하는듯하다. 예전엔 그저 쌍꺼풀 수술 정도로 만족했던 것 같더..
  • [독자투고] 세종시 사태속에 원칙은 없었다 2010.01.21
    지난주 상하이저널을 특별기고를 읽었다. 필자는 행정수도이전이 해당지역의 표를 의식한 매우 비합리적인 결정으로 전형적인 포퓰리즘의 폐해라고 주장하고 있었다. 포퓰리..
  • 2010 상하이 엑스포와 중국경제 2010.01.16
    2010년 상하이 엑스포가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세계 각 국가별 전시관은 물론 메인 컨벤션홀과 메인 스트리트 등의 첨단 건축물들도 모습을 선보이기 위해 마지..
  • [아저씨 이야기] 사우나(桑拿) 단상 2010.01.15
    얼마전 서울서 온 손님과 행사를 마치고 여러 중국 손님과 함께한 며칠의 피로도 풀겸, 토요일 오후 사우나를 가게 되었다. 토요일이라 그런지 탕안에는 이미 사람들로..
  • [특별기고]세종시 수정안, 국가 백년대계를 생각해야 [1] 2010.01.15
    세종시 논란은 2002년 9월 30일 여당이던 민주당 노무현 대선후보가 충청도 지역의 표를 의식하여 신행정수도 건설이라는 공약을 내세우면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노..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중산산 농부산천 회장, 8조 들여 대..
  2. 中 디지털 제품 ‘15%’ 국가 보조..

경제

  1. 중산산 농부산천 회장, 8조 들여 대..
  2. 中 디지털 제품 ‘15%’ 국가 보조..

사회

문화

  1. 을사년, 상하이 춘절 등불축제 다 모..
  2. [책읽는 상하이 268] 자기 앞의..
  3. [책읽는 상하이 269] 자기 앞의..
  4. 윤발 형님 ‘러닝 크루’ 합류한 왕바..

오피니언

  1. [상하이의 사랑법 21] 작가의 사랑..
  2. [허스토리 in 상하이] ‘이상한 힘..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