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아저씨 이야기] 한국인 사업가

[2010-05-14, 17:23:43] 상하이저널
중국에서 한국인 사업가는 얼마나 될까? 필자가 얼마나 시간이 많았으면 이런 문제를 알고자 했을 까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리라…. 답은 ‘많다’이다. 사업가냐? 장사꾼이냐 하는 문제는 주인(오너)의 사업관에 따라 구별 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중국인들을 칭하길 유태인과 더불어 세계적인 장사꾼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에서도 이렇게 생각하고 부를까 또 생각해본다. 필자의 좁은 견해로는 의미는 비슷해도 꼭 집어 장사꾼이라고는 안할것 같다는 생각이다. 다시말해 비지니스를 잘한다고하지, 한국에서처럼 장사 잘하는 민족 이라고 부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유난히 한국에서는 이들을 꼭 장사꾼이라고 했을까? 아마도 장사꾼이라는 표현을 쓰기 시작했을 때 심리적으로 장사라는 업(业)을 좀 우습게 본 선조들의 시대관이 만들어 낸 사농공상(士农工商)에서 상(商)은 맨 아래라고 생각하였고, 후에 비즈니스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사업가로의 대비적인 표현법으로 더 굳어진게 아닌가 싶다. 그렇다면 장사와 사업은 어떻게 구별 되어져야 하나? 시업자등록증(영업집조)로 구별할 것인가? 아니면 사무실 크기나 위치로 결정되어야 할것인가? 오너의 마인드가 중요하다고 본다.

오너 본인의 이익만을 강조하느냐? 여타 조직원의 이익 분배를 잘 하는냐에 따라 장사를 하는것인지 사업을 하는 것인지가 나뉘어진다고 생각한다. 정말 중국인은 장사를 잘하는 것인가? 한국 사람은 결국 그들에게 뒤처지는 것인가? 이둘의 차이점은 또 어디에 있을까? 모두가 오너의 마인드에 있는건 아닐까? 우선 한국인의 의식에는 ‘나’라는 주체가 우선 성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가 살고 난 다음에 ‘남’이 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강조를 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결과는 하늘과 땅만큼 차이가 난다는 것을 수없이 지켜봤다. 다시 말해 ‘나부터 무조건 살아야 한다’고 하는 생각과 ‘함께 살아가자’는 취지는 분명 시작부터가 다르지 않을까?

가끔씩 저 사람은 장사꾼이야 하는 말을 하곤한다. 또 저 사람은 사업가야 하는 말도 하게된다. 시작이 없고선 결과는 없다. 결과가 중요한 세상이지만 과정 또한 무시 할 수 없다. 이 여러 부분들이 일정하게 가는냐, 부분마다 필요에 따라 가느냐 하는 결정 부분 또한 장사와 사업을 구별 짓는 잣대가 되어진다고 도 볼수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그럼 중국인은 장사꾼만 많은 것인가? 그렇지 않다. 중국인이나 한국인 모두 장사를 잘한다.

오히려 어떤면에서는 한국인이 장사를 더 잘한다. 그런데도 왜? 굳이 한국인을 장사 잘하는 민족이라고 부르지 않나? 한국인들 스스로가 사업가라고 생각해서는 아닐런지? 필자가 오랜시간 무역을 하면서 필자의 능력에 대해 많은 의구심을 가져 본다. 한국쪽 파트너에 대해서도 수많은 생각을 해보기도 한다. 일의 성사여부 결과 필자는 항상 약자였고, 얻은 건 시간을 바쁘게 잘 보냈다는 것이다. 어느날 새삼 필자는 깨우침이 있었다. 알고 보니 필자는 장사치였는데, 매번 사업가 흉내를 내며 파트너 또는 의뢰인을 상대해왔던 것이다. 아니 장사치도 못되었던 건 아닐까?

다시 원론으로 돌아가 상해에서 사업을 하는 많은 한국인들을 종종 만난다. 소리없는 강자라고나 할까? 빈그릇처럼 시끄럽지도 않게 조용히, 시쳇말로 사이런스하게 사업을 키워 나간다. 돈을 벌어서 부러운 것이 아닌 진정한 사업을 위해 몸부림치는 모습에서 작은 감동을 느끼곤 한다.

지금도 열심히 생업을 위해 애쓰는 많은 분들이 진정한 사업가가 될 수 있도록 기원해 본다.

▷조용한 상인(trntr21@naver.com)

ⓒ 상하이저널(http://www.shanghaibang.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아줌마 야이기] 덜어내고 싶은 것들 2010.05.08
    -하나 “어! 이게 뭐야?” 2주일간 치열한 다이어트가 끝나고, 다시금 정상의 식사로 돌아간 다음날 거울속의 얼굴이 많이 부어보인다. 체중계에 올라가니 다이어트..
  • [아줌마이야기]나는 과연 좋은 엄마일까? 2010.04.24
    오늘도 또 사고를 치고 말았다. 어제 밤 늦게 일을 끝내고, (사실 어제 저녁을 너무 빨리 먹었다는 생각이 든다. ) 배가 고프기에 고기를 구워 먹고, 새벽까지..
  • [기고]핵안보정상회의 성과와 과제 2010.04.24
    4월 13~14일 워싱턴에서 열린 제1차 핵안보정상회의는 핵테러 및 핵물질의 불법거래를 차단하기 위한 12개항의 정상성명을 채택하고 폐막되었다. 이명박 대통령을..
  • [3차 미술투어 후기]100원의 행복- ‘상하이의 숨은 미술찾기’ 2010.04.16
    전시장에서 마주치는 현대작가의 작품은 생경한 ‘날 것’의 느낌일 때가 종종 있었다. 홀로 맞닥뜨린 그림이 낯설고 불편하여 아예 이해하려는 시도조차 포기한 적이 있..
  • [아줌마이야기]내 몸은 천근이! 만근이! 2010.04.16
    알람소리에 놀라 서둘러 옷을 주섬주섬 입고선 부엌으로 나와 의식적으로 창 밖을 내다봤다. 오늘도 길바닥에 빗물자국이 여전하다. 갑자기 몸이 무거워지고 머리에 두통..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중산산 농부산천 회장, 8조 들여 대..
  2. 中 디지털 제품 ‘15%’ 국가 보조..

경제

  1. 중산산 농부산천 회장, 8조 들여 대..
  2. 中 디지털 제품 ‘15%’ 국가 보조..

사회

문화

  1. [책읽는 상하이 267] 게으르다는..
  2. 을사년, 상하이 춘절 등불축제 다 모..
  3. [책읽는 상하이 268] 자기 앞의..
  4. [책읽는 상하이 269] 자기 앞의..
  5. 윤발 형님 ‘러닝 크루’ 합류한 왕바..

오피니언

  1.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9] 200..
  2. [상하이의 사랑법 21] 작가의 사랑..
  3. [허스토리 in 상하이] ‘이상한 힘..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