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아줌마이야기] 두껍아 두껍아 헌집 줄께 새집 다오

[2011-04-17, 00:10:28] 상하이저널
방동에게 전화가 왔다. 5월초에 계약기간이 만료되는데 재계약을 하면 좋겠다는 얘기였다. 남편과 상의 끝에 재계약하기로 했다..중국생활 6년 만에 처음으로 하는 재계약이다.

샤먼에서 처음 시작한 중국생활.
남편 회사에서 얻어놓은 첫 중국집은 신기했다. 첫째 철문을 열면 나무문이 나오고, 현관도 없고 신발을 신고 생활해서 마루바닥은 걸레질 한달 만에 맨발로 다닐 수 있었다. 주방은 집안 귀퉁이에 쬐끄만하게 붙어 있어서 혼자 들어가 밥을 하기에도 좁았다. 거기에 자취생 취향의 작디 작은 냉장고와 4㎏ 용량의 작은 세탁기는 또 어떻고. 외식으로 하루 세끼를 해결하는 일이 많고 팬티와 양말도 세탁소에서 다 빨아서 배달을 해주는 샤먼식의 생활을 이해하고서야 집 구조를 이해했으니.

아열대의 작은 섬이라 바닷바람이 많고 습했던 샤먼의 첫 중국집은 보일러 대신 천막 천으로 커튼이 만들어져 있었고 욕실에는 뜨거운 열기를 내는 등을 천장에 달아 목욕을 할 때면 정수리가 뜨끈한 게 재밌기도 했다. 하지만 거실에 누워 TV라도 볼라치면 현관문 틈 사이로 지나다니는 사람들의 신발이 보이고 그 틈으로 들락거리는 바퀴벌레란….

한번은 화장실 청소를 하며 세면대에서 수건을 빨고 있는데 갑자기 세면대가 푹 내려앉는 게 아닌가.. 더 놀란 건 세면대를 고치겠다고 인부 5명이 들어와 오공본드로 세면대를 붙여 놓고는 한사람씩 교대로 세면대 밑으로 들어가 받치고 5시간을 있는 모습이었다. 제대로 된 기술자를 만나는 것도 힘든 곳이었다. 전세 개념이 없는 중국에서 월세를 받으려 대충 날림으로 인테리어를 한 방동도 문제였지만 중국식 집안구조도 살면서 내내 불편했던 지라, 1년 계약 기간을 간신히 채우고 다시 구한 집은 커다란 주방에 확 트인 거실과 야외수영장이 내려 보이는 딱 내 스타일의 집이였다. 그런데 이집은 하수구가 문제였다. 여름이면 40도를 웃도는 날씨에 하수구가 제대로 뚫리지 않아 막히기 일 수였고 올라오는 냄새 때문에 세면대에 물을 받아 냄새를 막곤 했다. 락스와 뚫어펑을 안고 살았던 1년이었다.

주방이 마음에 드니 화장실이 문제인 식으로 아쉬운 걸 찾아 해결하는 식으로 집을 찾는다는 게 더 힘들었다. 샤먼에서는 로망으로 불리던 상해에서 보일러 집을 구해도 습기로 벽지가 일어난다던지, 집안 전체가 따뜻하지 않다든지 모든 게 마음에 들면 집값이 너무 비싸다든지~이사를 위해 일 년에 한번 보는 집이 평균 20채가 되곤 했다.
그렇게 시행착오를 거쳐서 몇 가지의 기준이 생기고 그 기준이 꼭 맞는 게 지금의 집이다.

그 몇 가지 기준이란 게 전기 배선에 문제 없고, 상하수도에 문제 없고..눈에 보이게 고장 난 게 없다는 뜻이다..거기에 방동이 부족한 것을 얘기하면 바로 나서서 해결해 준다는 점이다. 이 간단한 것이 6년이 걸렸다.
어릴 적 모래놀이터에 앉아 적당히 촉촉하게 젖은 모래를 손들에 얹고 ‘두껍아, 두껍아 헌 집 줄게~새 집 다오’노래를 부르면 두드리다 보면 동그랗고 이쁜 두꺼비 집이 만들어지던 놀이는 환경도, 생활도 다른 곳에서 적응해서 살고자 애쓰는 내 마음의 주문 같다. 어차피 내 살림도 아니고 내 집도 아니고 중국사는 동안 맘 편하게 현지인처럼 사는 게 속편한 것 같아 중국 살이 6년 만에 집 욕심을 내려놨다. 그래봐야 1년이겠지만.

▷Betty(blog.naver.com/ fish7173)

ⓒ 상하이저널(http://www.shanghaibang.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아줌마이야기] 지금 우리는 2011.04.03
    "얘 요즘 안받던 남편관리 받고 살려니 영 불편하고 적응 안된다." 얼마 전 친구는 전화로 이렇게 볼멘소리를 한다. 한참 동안 수다를 떨다 보니 우리도 어쩔 ..
  • [아줌마이야기] 하루 하루를 살아내야 하는 우리 2011.03.25
    어제 오후, 자전거를 타고 집을 나섰다. 딸아이 방에 작은 수납함도 사고, 답답한 마음에 바람도 쐴겸 나선 나들이였다. 봄바람 치고는 제법 매서워 달리는 속도만큼..
  • [아줌마 이야기] 上海 일본 아이들의 모금활동 2011.03.15
    학교에서 돌아온 둘째가, 오늘 학교에서 일본아이들이 모금활동을 했다고 한다. 1 마오라도 괜찮으니 자신들의 활동에 적극 참여해 달라고 호소했다 한다. 고국에서 좌..
  • [아줌마이야기] C'cest Si Bon 2011.03.14
    오랜만에 TV앞에 앉아 시간이 어찌 가는 줄 몰랐다. 말 한마디에 웃다가 그들이 부르는 노래에 눈물 짓고… 나도 그들처럼 세월을 흥얼거리며 추억이 더 많은 올드팬..
  • [독자투고] J에게 2011.03.14
    그 동안 잘 지냈니? 중학교생활 힘들겠다. 매일 10시에 학원에서 돌아온다면서? 그런 것 생각하면 내가 중국에 사는 것이 좋기도 하고, 살다 보면 한국에서 살고..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꽃 보러 가요~상하이 무료 꽃 전시
  2. 中 2024년 1인당 가처분소득 5...
  3. CATL, 작년 순이익 10조원…올해..
  4. 을사년, 상하이 춘절 등불축제 다 모..

경제

  1. 中 2024년 1인당 가처분소득 5...
  2. CATL, 작년 순이익 10조원…올해..

사회

  1. 꽃 보러 가요~상하이 무료 꽃 전시

문화

  1. [책읽는 상하이 267] 게으르다는..
  2. [책읽는 상하이 268] 자기 앞의..
  3. 을사년, 상하이 춘절 등불축제 다 모..
  4. [책읽는 상하이 269] 자기 앞의..
  5. 윤발 형님 ‘러닝 크루’ 합류한 왕바..

오피니언

  1.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9] 200..
  2. [상하이의 사랑법 21] 작가의 사랑..
  3. [허스토리 in 상하이] ‘이상한 힘..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