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 사이에 체감 온도가 겨울로 들어서니 얼떨떨하다. 딱히 기온이 영상 몇도부터가 겨울 체감 온도라 말하기 뭐하지만 최근 상하이 날씨는 정말 춥다. 한국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 애써 위로해 보지만 이 곳 생활 10년차가 넘어가는 지금에는 그 위로도 위로가 되지 못한다. 이젠 보일러 깔린 집이 많아 보일러 깔린 집으로 이사도 해 볼까 싶지만 이 또한 월세의 상승 때문에 여의치 않다.
아줌마들끼리 모이면 가장 주된 화제는 역시 자녀 교육이다. 그리고 겨울이 되니 자연스레 어떻게 겨울을 날 것인가 많은 정보들이 오간다. 일단 난방이 되든 안되든 연료비 절감을 위해서도 이 곳에선 맨 바깥쪽 집은 기피 대상이다. 사이에 끼인 집을 선호한다. 내가 거주하는 집의 보일러 유무에 상관없이 위 아래층에 보일러가 있다면 우리 집은 난방 샌드위치에 들어서 따뜻하다는 정보다. 야간 전기료는 낮의 절반임에도 불구하고 전기 누진세 적용으로 이제는 전기로 난방을 하는 것도 신경이 어지간히 많이 쓰인다.
지금이야 보편적이지만 내 기억으로 상하이에 동판이라는 난방 도구가 출현한 것이 12년 전이다. 그 때는 보일러 깔린 집도 없어 동판 하나로도 많은 교민들이 행복해 하고 겨울 준비로 최고였던 기억이 있다. 동판이 보편화 되고 열풍기가 나타나고 난방 필름이 등장하고 2003년 홍췐루와 구베이 일대에 교민들이 집을 구매하면서 보일러 깔린 집들이 등장했던 걸 보게 된다.
상하이에 눈이 오는 건 원래 드물다. 5~6년전쯤 상하이에서 보기 드문 많은 눈이 내렸을 때도 눈이 쌓였지만 바닥은 얼지 않고 녹아 흥건한 광경을 목도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상하이다. 눈 한 번 보지 못하고 해를 넘기기가 일쑤여서 눈이 그리워 겨울에 꼭 한국을 가곤 했던 기억도 있다. 보기 어려운 눈도 자주는 아니지만 상하이에서도 가끔은 구경할 수 있게 되었다. 상하이의 겨울도 변해가고 있음을 보게 된다. 더 춥게, 더 길게….
유난히 더웠던 올 여름 날씨 탓인지 가을이 귀했더랬다. 가을이 다 갔다는 아쉬움을 느낄 새도 없이 겨울이 집 문턱을 넘어섰다. 보일러가 없는 집이다 보니, 그렇게 기피하던 바깥쪽 집을 월세난에 구하다 보니 수면 양말을 식구들에게 일찌감치 신게 했다. 12월이라 집 안에 크리스마스 장식을 하고 꼬마 전구의 따스한 불빛을 보니 그래도 바깥의 차가움이 집안은 점령하지 못한 듯도 하다.
크리스마스 행사, 김장 담그기 등 겨울맞이 행사를 앞두고 있다. 나이가 들어서인지 예전보다 더욱 추위를 타는 날 보게 된다. 그래서 상하이의 겨울이 더 추워지고 있다고 느끼는지도 모르겠다. 내 입에서 올해는 동장군이라는 말이 튀어 나오며 집안이 난방이 되지 않는 상하이 겨울의 위엄을 일깨우고 있는지도 모른다.
동판과 필름 위에 앉아 숙제를 하는 아이들의 웃음 소리가 들린다. 난방매트를 깔아 놓은 푹신한 침대 이불 속에 들어가 잠자리에 드는 행복한 아이들의 미소도 보인다. 실내에서도 얇은 패딩조끼를 입고 있는 아이들 모습엔 의외로 안팎의 동장군을 두려워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아이들은 겨울답게 다가오는 이 곳의 추위를 기꺼이 맞이하는 듯 하다. 한 해에 한 계절 입는 겨울옷을 반가워 하는 듯도 하다. 문득 알프스 소녀 하이디가 눈이 소복히 쌓인 알프스 다락방에서 건초 이불 속에서 미소 띠며 눈에 덮인 알프스를 바라보던 장면이 그려진다. 내 아이들의 모습에서 그런 따뜻함이 보인다.
가정의 온기가, 우리집에 감도는 따뜻한 여러 과학이 상하이의 동장군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게 미소로 날려 보낼 수 있음을 보며…. 내겐 동장군이 되어가는 상하이의 겨울이 아이들에겐 겨울의 추억으로 채워져 감을 보게 된다. 이 아이들에게 올해 상하이의 겨울이 어떤 모습으로 기억될지 기대하며 나도 좀 더 어깨를 펴고 당당하게 추위를 맞이하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