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중국인 대학생 기숙사, 강제로 전기 차단?

[2018-01-24, 11:06:34] 상하이저널

 

드디어 끝이 보이는 기말고사기간. 작년 기출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중국인 친구 A의 말에 서둘러 받아 보기로 했다. 그 날 저녁 기출문제를 받기위해 A의 기숙사를 방문했다. 하지만 복도에서부터 느껴지는 으스스한 분위기. 감옥 안 모습을 연상케 할 정도였다. 방안에서 만난 A는 기출문제를 건내 주며 씩 웃었다. 뭔가 찝찝한 기분이 들어 기숙사를 빨리 나와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던 그 순간, 방안의 모든 전기가 차단되며 어둠으로 물들었다. 공포에 떠는 내 모습을 보며 A는 하염없이 웃기 시작했다. 이 기숙사에는 귀신이라도 사는 것일까? 


<저장대 중국인 기숙사 복도>

 

 


 

그것의 정체는?


저장대학교는 중국인 기숙사와 유학생 기숙사 건물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위치적 차이를 배제하고도 입주가격, 화장실 시설, 방 내부구조 등 많은 부분이 다르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차이점을 꼽자면 단연 ‘똰띠엔(断电) 제도’일 것이다. ‘똰띠엔’은 중국어로 ‘전기가 끊기다’라는 뜻으로 기숙사 내 전기가 강제로 끊기는 제도를 의미한다. 현재 저장대를 포함한 중국의 베이징대, 칭화대, 푸단대 등 각지의 대학에서 실행 중에 있다.

 

대학교 기숙사에서 전기를 진짜 차단한다고?


저장대의 경우 전기 차단시간은 매일 밤 11시 35분부터 다음 날 새벽 6시 30분까지 총 6시간 55분이다. 하지만 이 제도를 1년 365일 내내 유지하는 것은 아니다. 매년 5월부터 이 제도가 적용되지만 단, ‘3일연속 32도 이상 지속 되었을 시’ 라는 조건이 붙는다. 예외없이 적용 되는 것은 국경절 연휴가 끝나는 10월 초 중순부터 시작된다. 다시 말해 학생들은 방학기간을 제외한다면 학교에서 보내는 절반이상의 시간을 이 제도와 함께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들은 이와 같은 제도에 순응만 하고있는 것일까? 그들의 생각이 궁금해졌다. 


<저장대 월별 전기 차단제도 적용 현황>

 

 

그들의 속마음


만토우는 저장대 중국인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월 9일부터 1월 14일까지 총 6일동안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의 첫 번째 질문은 “강제 전기차단 제도에 대해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가” 였다. 결과는 ‘합리적이다’ 50명(25%), ‘불합리적이다’ 150명(75%)으로 ‘불합리하다’고 느끼는 학생이 정확히 3배 많았다.

 
<강제 전기차단제도 관련 설문조사>

 

 

두 번째 질문은 ‘합리적이다’, ‘비합리적이다’ 라고 선택한 응답자들에게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물었다. ‘합리적이다’ 라고 답한 50명중 35명(70%)은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 6명(12%)은 ‘이미 습관이 되서’, 5명(10%)은 ‘안전상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서’, 나머지 4명(8%)은 ‘기타’에 응답했다. 그렇다면 ‘불합리하다’ 로 응답한 학생들의 이유는 무엇일까? 놀랍게도 150명 중 절반 이상인 80명(53.33%)은 ‘밤새 공부하기에 불편해서’라는 이유를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역시 적지 않은 수인 55명(36.67%)의 학생들은 ‘온풍기를 사용할 수 없어서’, 10명(6.67%)은 ‘기타’, 5명(3.33%)은 ‘게임을 할 수 없어서’라는 의견을 보여주었다.

 
 <강제 전기차단제도 관련 설문조사>

 

 

 

돤뎬(断电), 넌 내 공부를 막을 수 없지!


설문조사 결과에서 알 수 있듯 수많은 학생들은 ‘밤새 공부하기 불편하다’는 이유로 돤뎬(断电)을 꺼려했다. 평소 저장대의 빡빡한 학사일정을 고려하면, 늦은 시간까지의 공부는 다소 불가피하다. 게다가 시험기간이 다가올수록 공부량은 더욱 많아진다. 그렇다면 이들은 똰띠엔 후 어떠한 방식으로 공부할까? 크게 두 가지 방식이다. 첫 번째는 방 안에서 ‘충전식 스탠드’를 이용하는 것이다. 충전해 놓은 전기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교측도 크게 관여하지 않는다고 한다. 두 번째는 학교 근처 ‘카페’에 가는 것이다. 학교의 똰띠엔 상황을 잘 아는 근처 카페들은 대부분 24시간으로 운영된다. 특히 시험기간엔 새벽까지 수많은 학생들이 카페에서 공부하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한다.

 

도대체 왜 굳이?


대다수 학생들이 불편을 느끼는 이 제도를 감행하는 이유는 뭘까? 학교 측에서 제시한 이유는 총 3가지이다. 첫 번째는 ‘학생들의 더 많은 휴식시간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고등학교와 별 다른 바 없이 빡빡한 학사일정을 보내는 중국대학의 특성상 ‘강제적 휴식’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학생들 사이의 조화를 위해서’이다. 기숙사에는 아침형 인간부터, 저녁형 인간까지 다양한 생활습관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생활한다. 따라서 수면시간만큼은 서로간 배려하자는 이야기이다. 마지막 세 번째 이유는 ‘자원 절약’이다. 장시간의 전기를 차단함으로써 국가 친환경발전에 이바지 하겠다는 것이다.
  

학생기자 이인재(저장대 시장마케팅학과)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디스토피아 소설, 단지 공상(空想)일 뿐일까? 2018.01.23
    디스토피아는 유토피아의 반의어로, 유토피아가 가공의 이상향이라면 디스토피아는 가장 부정적인 암흑세계, 즉 반(反) 이상향을 일컫는다. 현대인들이 소망하고 바라는...
  • 중국의 유명한 3大 역사 고전 2018.01.23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 또는 과거의 사실과 현재의 역사가의 대화이다 특히 역사는 문자와 기록하는 습관이 발달한 나라에서는 역사적 사료의 가치는 굉장히 높다....
  • [선배기자 인터뷰] “자신만의 길을 소신있게! 열심.. hot 2018.01.20
    김수완(SSIS/12년 특례)연세대 영어영문학과 재학 중고려대 영어영문학과 동시합격·1학년 LAS(리빙스톤 미국학교)·2~4학년 YCIS(예청 국제학교)·4~12..
  • 글로벌 메뉴 중국만의 특별함으로 승부 hot 2018.01.20
    중국 유명 프랜차이즈점 독특한 메뉴 세계화로 인해 다국적 기업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큰 규모의 시장을 지니고 있는 중국 역시 국제적인 기업들의 마케팅 대상에서..
  • [학생기자논단] 미국·중국의 글쓰기 교육에서 배우자 2018.01.18
    우리나라는 예부터 문(文)을 중시하는 국가였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시행됐던 과거 시험 역시 문학적 소양과 글짓기 능력을 검증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2..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을사년 푸른 뱀의 해, 특별한 새해..
  2. 꽃 보러 가요~상하이 무료 꽃 전시
  3. 中 2024년 1인당 가처분소득 5...
  4. CATL, 작년 순이익 10조원…올해..
  5. 을사년, 상하이 춘절 등불축제 다 모..

경제

  1. 中 2024년 1인당 가처분소득 5...
  2. CATL, 작년 순이익 10조원…올해..

사회

  1. 꽃 보러 가요~상하이 무료 꽃 전시

문화

  1. [책읽는 상하이 267] 게으르다는..
  2. [책읽는 상하이 268] 자기 앞의..
  3. 을사년, 상하이 춘절 등불축제 다 모..
  4. [책읽는 상하이 269] 자기 앞의..
  5. 윤발 형님 ‘러닝 크루’ 합류한 왕바..

오피니언

  1. [안나의 상하이 이야기 19] 200..
  2. [상하이의 사랑법 21] 작가의 사랑..
  3. [허스토리 in 상하이] ‘이상한 힘..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