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칼럼
"어린이는 그림으로 말한다* 유아기의 미술 활동
유아에게 있어서 미술은, 본질적인 것이며 아이들은 미술로 이야기하고 질투하고 시기하고 복수하고 기쁨을 맞보며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다. 진정으로 위대한 예술가는 과학자이고 위대한 과학자는 또한 예술가이며 이 둘은 모두가 발명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창작활동은 인간 자신을 표현하는 삶의 방식인 것이다. 합리적 교육에 의한 창의성개발은 그 동안 미술교육에 있어서 창의성을 강조하면서도 좋은 결과를 얻지 못했던 것은 창의성을 개발한다는 생각으로 미술활동을 방임에 가깝게 그려보라는 쪽으로 흘렸기 때문이다.
많은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해서 표현하다 보면 저절로 생길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와 구체적인 대안 없는 방임상태에서 무력감마저 조장할 뿐 창의성 개발에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 창의적이고 다양한 표현에 도달하도록 체계적으로 지도하며 개발 적으로 그들과의 대화를 통해 그들의 문제를 해소시켜주어야 가능한 일이다. 교사와 부모들은 미술기법들이 사고와 개인적인 의미를 표현하는데 부수적인 수단이라는 사실을 명백히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기법이 미술수업의 유일한 목표가 될 수 없다. 기술적인 완벽함이 개인적인 표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기술은 단지 미술이 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유아의 미술교육에 있어서는 길러주는 부분과 가르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상상 계는 가르칠 수 없다. 길러주는 부분이다. 상상계의 아이는 무엇을 그리려고 하는가? 무엇에 감동한 것인가? 어떤 형태와 색을 파악하고 있는가. 이 같은 감성과 이미지의 세계는 비록 교사부모일지라도 제3자가 가르칠 수 없다. 아이가 유치원이나 가정에서 배우는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개념이다. 흔히 이런 생각들은 "난 못해*, "왜 하지? *, "난 할 줄 몰라*, "난 그럴 가치가 없어*, "무슨 소용이 있어*, "고양이는 무서워서 못 그려* 등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사실 너무 기능적인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어른의 기법과 생각을 갖도록 영향을 주게 된다. 교사나 부모의 지도는 아이의 내면에 있는 창의성을 이끌어 내도록 할 뿐 어떤 이의 생각을 주입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지금 펼쳐지고 있고 펼쳐질 문화의 시대 정보화의 시대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는 다가치의 시대이며 다양한 문화의 시대이다. 서로 존재의 존엄성을 존중해주고 개인차를 인정해 주면서도 변화의 경쟁의 시대를 살아갈 어린이들에게 미술교육이 해야 할 일은 심미적인 안목과 감각작용, 문제해결능력과 의사 결정기회를 만들며, 타인의 개성을 존중하며 자신의 세계를 지성적이고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자라게 하는 것이다.
또한 어린이는 자연환경에서 미술활동을 위한 아이디어를 많이 얻는다. 그래서 다양한 보는 활동을 통해 미적 감각을 기르도록 해야 한다. 이런 감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은 어떨까?
-만약 아이는 거인이고 어른이 난장이라면 어떻게 될까?
-만약 해가 밤새도록 빛난다면 어떻게 될까?
-만약 세상의 모든 것들이 노란색으로만 되어 있다면 어떻게 될까?
-만약 세상이 모두 선으로만 이루어졌다면 어떻게 될까?
-만약 모든 것이 다 둥근모양이라면 어떻게 될까?
-만약 동물의 각 신체부분과 사람의 각 신체부분이 서로 뒤섞여 보인다면 어떻게 될까?
-만약 곤충이 인간보다 크다면 어떻게 될까?
▷유은주 (엔젤유치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