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아줌마 이야기] 왕따 투정

[2008-12-09, 01:07:02] 상하이저널
얼마 전, 학교에서, ‘집단 괴롭힘(bullying)에 대처하는 효율적 대처 방안에 관한 설명회’가 있다는 통지문이 날아들었었다. 아이가 아직은 저학년인지라, 안이한 맘에 별 눈여겨 보지도 않고 지나쳤는데, 어제는 아이가 집에 들어서자마자 약간은 상기된 얼굴과 목소리로 또 Bullying(일명 ‘왕따’)에 대한 얘길 늘어놓기 시작했다.

학교에서 학생들을 강당에 모아놓고서, 왕~따에 따른 여러 부정적인 예들을 선생님들의 직접적인 시연을 통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을 받은 모양이었다.
‘내 아이만은 안전하겠지’ 하는 이기적인 맘에, 건성어린 목소리로 살짝 물어보니, 요즘 학교 점심시간에 “넌, 친구로 껴!, 넌, 빼!”가 예사로이 오고 가는 말이란다.

심지어 다른 나라 아이들조차도 한국말로 친구 껴! 친구 빼!는 쉽사리 내뱉을 수 있는 말이 되어버렸단다. 순간 “그래서 넌 어때? 넌, 친구들이랑 잘 지내니? 점심시간에 넌 뭐하고 지내?” 쏟아지는 질문에, 반에서 대장하려는 아이가 2명 정도 있는데, 어떨 때는 끼워주고 또 어떨 때는 안끼워주기도 한단다.

그럼 다른 반 친구들이랑 컴퓨터실에 가거나 도서관에 간다고 한다. “친구들이랑 너 좋아하는 축구는 안하니?”라는 질문에, 자꾸 골키퍼만 시켜줘서 하기 싫어서 차라리 안하겠다고 했다고.

“너 생각에, 왜 친구들이 안끼워 줄려고 하는거 같애?”하니, 이 학교에 온지 얼마 안되니깐 자기들에게 2원 5마오 하는 물건을 하나씩 사달라 해서(소위 텃새 아닌 텃새?), 자긴 돈도 없고 사줄 생각도 없다고 얘기했단다.

아이의 말을 들으면서, 아이에게 어떤 반응을 보여야 할지, ‘그래, 잘했다’ 해야 할지, ‘그래도 친구들이랑 사이좋게 지내야지’ 해야 할지 당혹감이 느껴졌다. 결국 후자로 아이를 다독거리긴 했지만, 아이가 완전히 수긍하는 것 같지가 않아, 내 맘 한쪽구석이 영 편하지가 않았다.

이런 분야에 있어 전문가도 아닌지라, 내가 보인 반응의 결과가 어떨지 잘 모르겠다. 우리아이 친구들이 정말 왕~따를 시키려고 작정하고 그런건 정말 아닐거라 생각한다. 어쩌면 학교에서 관심과 걱정어린 눈길로 지켜보고 있을 형들, 누나들, 언니들의 흉내를 조금 내 봤을 뿐일거라 생각한다.

아직은 학교에서 있었던 자그마한 일조차도 엄마에게 얘기해주는 저학년이라 조금은 다행으로 느껴진다. 어쩜, 정말이지 별일도 아닌 일에, 그냥 아이들의 사소한 말장난에 맘이 조금 상해서 푸념했을거라 생각한다.

학교란 우리 아이들에게 매일 매일 가도 즐겁고, 매일 매일 만나도 즐거운 그런 선생님들이, 친구들이 있는 곳이어야 할 것이다. 오늘도 학교 가는 걸 잊지 않고, 열심히 가방 끌면서 등교하는걸 보면, 왕따 당하고 있는건 안닌게 분명한것 같은데….

자기 맘대로, 뜻대로, 하고 싶은대로, 고집대로 안되는 것도 있다는 걸 배워가는 과정, 사회인이 되어가는, 성숙해가는 과정 속에서 엄마에게 ‘투정 한번 부린거겠지’ 하고 싶다.
이 글로 인해 우리아이가 다니는 학교가 왕~따 문제로 골치를 안고 있다는 얘길 하고자 한 건 아니다.

예방차원에서 아이들에게 관심을 보여준, 우리 엄마들에게 조금이라도 경각심을 일깨워준 것에 대해 오히려 감사하는 맘으로 쓴 글이다.
▷아침햇살(sha_bead@hanmail.net)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아줌마 이야기] 아버님과 컴퓨터 2008.12.02
    “에미야! 왜 컴퓨터 안켜져 있냐? 빨리 켜봐라.” 전화 속의 아버님 목소리가 즐겁게 들린다. 아이들 아빠가 얼마전 한국에 들렀을 때 늘 보고 싶어 하시는 아이들..
  • [아줌마 이야기] 몽실이 2008.11.25
    어릴적부터 난 동물을 아주 좋아한다고 생각해왔다. 어떤 것에 대해서든지 딱히 유별난 것이 없는 성격 때문인지 난 여러 동물들에 대해 자연스럽게 별 거부감 없이 가..
  • [독자투고]중국发 식품불안, 한국이 유난히 심한 이유 2008.11.25
    환율도 환율이지만 최근 중국에서 판매되는 음식에 대한 불안으로 외식이 많이 줄었다. 한국에 있는 친인척들도 중국 식품문제가 나올 때 마다 걱정하는 메시지를 보낸다..
  • [독자투고]자동차 뒷문 꼭 잠그세요 2008.11.24
    얼마 전 차를 몰고 회사로 출근하던 중 황당한 일을 당했다. 중춘루(中春路)와 후칭핑공루(沪青平公路) 교차로에 신호대기차 서있는데 갑자기..
  • [아줌마 이야기] 아버님, 힘내세요! 2008.11.18
    지난 금요일 밤 들려온 소식, 시아버님이 대장암 진단을 받으셨다고 한다. 늘 등산이며, 골프며, 운동을 꾸준히 하시던 분이라, 어느 누구보다도 건강하셨던 분이라..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중산산 농부산천 회장, 8조 들여 대..
  2. 中 디지털 제품 ‘15%’ 국가 보조..
  3. 화웨이·텐센트·아마존 등 줄줄이 '딥..
  4. 스타벅스, 中 매출 1% 성장…동일..
  5. 전 세계 홀린 딥시크, 2억 연봉 제..
  6. ‘大S’ 서희원 사인, 폐렴 아닌 ‘..

경제

  1. 중산산 농부산천 회장, 8조 들여 대..
  2. 中 디지털 제품 ‘15%’ 국가 보조..
  3. 화웨이·텐센트·아마존 등 줄줄이 '딥..
  4. 스타벅스, 中 매출 1% 성장…동일..
  5. 전 세계 홀린 딥시크, 2억 연봉 제..

사회

문화

  1. 을사년, 상하이 춘절 등불축제 다 모..
  2. [책읽는 상하이 268] 자기 앞의..
  3. [책읽는 상하이 269] 자기 앞의..
  4. ‘大S’ 서희원 사인, 폐렴 아닌 ‘..

오피니언

  1. [상하이의 사랑법 21] 작가의 사랑..
  2. [허스토리 in 상하이] ‘이상한 힘..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