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상하이방은 상하이 최대의 한인 포털사이트입니다.

한국학교vs국제학교 통일의식 어떻게 달랐나?

[2015-08-18, 09:53:00] 상하이저널
 
올해 8월 15일은 대한민국의 광복 70주년이자 분단 70주년을 맞이한 의미 깊은 날이다. 전세계에 현존하는 유일한 분단국가라는 안타깝고 씁쓸한 타이틀을 단 채 2세대가 지난 지금, 상하이저널 고등부 학생기자단은 상하이 거주 고교생 285명(상해한국학교(고1~고3) 190명, 국제학교(Grade 10~12, Year 11~13) 90명을 대상으로 ‘통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보았다. 2015년 상하이의 고교생들은 어떤 생각들을 가지고 있을까? 한국학교와 국제학교 학생들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었을까?


 

북한은 경계대상
‘북한은 우리에게 어떤 존재라고 생각하는가’라는 항목에 한국학교 학생의 30.5%가 ‘경계대상’, 24.7%가 ‘협력대상’, 13.2%가 ‘적대대상’, 7.4%가 ‘지원대상’, 3.7%가 ‘경쟁대상’ 이라고 답했으며, ‘모르겠다’는 답변도18.4%로 높게 나왔다. 반면에 국제학교 학생들은 34.4%가 ‘경계대상’을 선택했지만 18.9%가  ‘지원대상’, 17.8%가 ‘협력대상’이라고 응답했으며, ‘적대대상’이라고 응답한 학생은 5.6%밖에 되지 않아 한국학교 학생들에 비해 다소 북한에 우호적인 입장을 보였다.


 

통일교육 부족해
‘통일과 북한에 대한 인식은 어느 경로를 통해 영향을 받고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인터넷(45.6%)’과 ‘대중매체(32.6%)’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한국학교 학생들은 그 다음으로 ‘학교(14.7%)’를 꼽은 반면 국제학교 학생 중에서는 단 1명(1.1%)만이 응답해 눈길을 끌었다. 또한 국제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상하이서 통일관련 행사나 정보를 접해본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21.1%만이 ‘있다’고 답했다.
 
 
한편, 한국학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통일의식에 대한 교육이 충분히 이뤄지고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46.3%가 ‘부족하다’고 답변했으며 ‘충분하다’를 택한 학생은 4.2%에 그쳤다. 다시 말해 한국학교 학생들이 국제학교 학생들에 비해 통일에 대한 교육을 접할 기회는 훨씬 많지만 여전히 통일 교육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국제학교 통일 전망 ‘낙관적’
전체 응답자 중 통일에 ‘찬성한다’고 답한 학생이 54.4%, ‘반대한다’고 답한 학생이 27.7%로 찬성의 응답률이 높았다. 그렇다면 학생들은 찬반을 떠나 통일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할까? 통일의 가능성을 묻는 항목에 한국학교 학생들의 48.9%가 ‘있다’를, 33.2%가 ‘없다’를, 그리고17.9%가 ‘관심 없다’를 선택했다. 이에 비해 국제학교 학생들은 55.6%가 ‘있다’, 34.4%가 ‘없다’, 8.9%가 ‘관심 없다’를 선택해 한국학교 학생들보다 통일을 낙관적으로 전망하는 모습을 보였다.

 
통일의 최우선 과제는? 
한국학교, 국제학교 학생들 모두 통일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조건으로는 ‘한반도 평화체제(49.8%)’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하지만 한국학교에서는 ‘북한 내 인권 개선(36.3%)’의 응답률이 두 번째로 높은 반면에, 국제학교에서는 ‘경제협력(38.9%)’과 ‘정치, 군사대화(38.9%)가 나란히 뒤따르면서 차이를 보였다. 이번 항목에서 여전히 대치 상태로 휴전 중이라는 상황이 북한에 대한 불안감과 경계심을 자아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이러한 긴장과 갈등을 우선적으로 풀어내야 한다는 학생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었다.

 
한반도가 일제로부터 해방되고 남과 북으로 갈라선지 어느덧 70년이라는 긴 세월이 흘렀다. 분단의 비극과 그 아픔을 직접 겪어보지 않은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통일교육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통일은 막연하고도 추상적인 관념으로 남게 될 것이다. 아직까지는 통일을 찬성하는 학생들이 더 많지만 다음 세대 또는 그 다음 세대에는 어쩌면 찬성보다는 반대, 나아가 무관심을 보이는 학생들이 더 많을지도 모를 일이다. 광복·분단 70주년을 맞이하여 우리의 아픈 역사를 돌아보고 그 의미를 마음 속 깊이 새겨보자.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우리의 관심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


 
중국에서 초·중·고 전 과정을 모두 공부한 학생들과 이제 막 중국에서 학교를 다니기 시작한 학생들의 통일의식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거주기간에 따라 6개월 이내, 1년 이내, 1~3년, 3~6년, 6~12년, 12년 이상으로 분류해 설문결과를 분석했다. 이 중 응답자 수가 적은 6개월 이내(4명), 1년 이내(4명)은 제외했다.

 
12년 이상 거주 학생들 ‘통일교육 부족해’
한국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상하이 학생들에게 통일의식에 대한 교육이 충분히 이뤄지고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절반 가까운 46.3%가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그 중에서도 12년 이상 거주 학생들은 69.6%라는 압도적인 비율로 ‘부족하다’고 답해 눈길을 모았다.

한편, 국제·로컬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상하이에서 통일관련 행사나 정보를 접해본 적이 있는가’ 질문에는 전체 인원 중 75.8%가 ‘없다’고 응답한 가운데 12년 이상 거주학생은 그 비율이 84.6%로 특히 높았다.

전 교육과정을 해외에서 배우고 있는 학생들에게 적절한 통일교육이 이뤄지고 있는지,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거주기간 길수록 남북관계 ‘모르겠다’
‘북한은 우리에게 어떤 존재라고 생각하는가’라고 물었다. 중국에서의 거주기간이 1~3년으로 비교적 짧은 학생들의 경우, 협력·지원대상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40.5%, 경계·적대대상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40.5%로 팽팽한 의견대립을 보였다. 반면 12년 이상 거주 학생들은 협력·지원 대상이라고 보는 학생이 38.9%로 경계·적대대상이라고 보는 27.3%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모르겠다’는 응답도 27.8%에 달해 3명 중 1명은 남북관계에 대한 입장이 정립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기간 짧을수록 ‘통일비용 부담’ 크게 느껴
중국에서의 거주 기간이 짧을수록 ‘통일비용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일 추진의 장애물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복수응답)’라는 질문에 1~3년 이내 거주 학생의 절반이 ‘통일비용 부담’을 꼽은 반면, 12년 이상 거주 학생들은 5명 중 1명만이 응답해 통일비용을 보는 시각의 차이를 보였다. 반대로 ‘주변 강대국 이해관계’ 응답률은 거주기간이 긴 학생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통일 위한 최우선 과제
거주기간 짧을수록 ‘경제협력 중요해’

‘통일을 위해 우리(정부)가 최우선으로 노력해야 할 것’에 대한 응답이 흥미롭다. 공통적으로 ‘한반도 평화체제 유지’를 최우선 과제로 꼽은 가운데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경제협력’을, 길수록 ‘대북지원’을 택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서의 거주 기간이 짧은 학생들이 남북 통일에 있어 경제적 요소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풀이된다.

 

고등부 학생기자
김현진(BISS Y12) / 정수아(상해한국학교 11) / 한동영(상해한국학교 11)


[관련기사 보기]

ⓒ 상하이방(http://www.shanghaiba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체의견 수 0

댓글 등록 폼

비밀로 하기

등록
  • 못생긴 '장쯔이' 화제 hot 2015.08.18
    최근 쓰촨성의 한 명인밀랍인형관에 전시된 밀랍인형들이 인터넷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고 광주일보가 보도했다. 그 이유는 밀랍인형들이 실제 스타에 비해 못생긴데다..
  • 상하이 한국고교생 "통일찬성! 남북모두 이익" hot 2015.08.17
    “통일 찬성! 남북 모두 이익!”상하이 한국 고교생 과반수 ‘통일 긍정적’ 상하이 거주 한국 고교생의 절반 이상이 한반도 통일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새학기 시작 전 IB 제대로 자리잡기 hot 2015.08.17
    새학기를 앞두고 IB를 처음 시작하는 학생들은 혼란스럽고 겁부터 먹게 마련이다. IB과정은 시간관리가 중요한 만큼 미리 대비해 적응시간을 앞당길 수 있는 팁을 제..
  • 中 외환 보유량 대폭 감소...금리 추가 인하? hot 2015.08.17
    7월 중국의 외환 점유 비중이 사상 최대 하락율을 보여 금리인하, 지준율 인하 기대감은 높이고 있다고 제일재경일보(第一财经日报)가 보도했다. 7월말 중앙은행 외환..
  • 문화원과 함께하는 음악여행 hot 2015.08.17
    주상하이한국문화원 개관 8주년 기념 주상하이한국문화원(이하 문화원)이 개원 8주년을 기념해 릴레이 행사를 선보이는 가운데 오는 9월 18일‘문화원과 함께하는 음악..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1. 중국 배우, 태국 촬영 후 연락두절…..
  2. [선배기자 인터뷰] 경계없는 ‘자유전..
  3. [허스토리 in 상하이] 상하이 대관..
  4. 2024 중국 10대 소비 트랜드…..
  5. 中 독감 환자 중 99%가 ‘A형’…..
  6. 알리바바, 다룬파 모회사 가오신유통..
  7. [Delta 건강칼럼] 감기 후 쉽게..
  8. 中 올해 경제 5.0% 목표... "..
  9. "금요일 퇴근 후 중국" 한국 관광객..
  10. 中 영화 관객 3억 명 줄었다… 지난..

경제

  1. 2024 중국 10대 소비 트랜드…..
  2. 알리바바, 다룬파 모회사 가오신유통..
  3. 中 올해 경제 5.0% 목표... "..
  4. 中 영화 관객 3억 명 줄었다… 지난..
  5. 中 올해 신에너지차 판매량 1650만..
  6. 아이폰 중국서 또 가격 인하… 100..
  7. 지리, 2025년 신차 5종 출시…2..
  8. 화웨이, 삼중 접이식 스마트폰 개발..
  9. 中 늘어가는 SNS ‘실버 세대’ ,..
  10. 中 자동차 기업 춘절 전 ‘보조금’..

사회

  1. 중국 배우, 태국 촬영 후 연락두절…..
  2. 中 독감 환자 중 99%가 ‘A형’…..
  3. "금요일 퇴근 후 중국" 한국 관광객..
  4. 중국인 IQ 세계 1위! 한국은 3위..
  5. 中 6개 대학에 ‘저고도 경제’ 전공..
  6. 징동그룹 회장의 ‘고향사랑’… 스승들..
  7. 태국서 납치된 中 배우, 나흘 만에..
  8. 中 독감·HMPV 환자 급증에 아동병..
  9. 작년 상하이 찾은 외국인 ‘600만..
  10. 韩 2025 달라지는 것들

문화

  1. [허스토리 in 상하이] 상하이 대관..
  2. 북코리아 2025년 1월 추천 도서
  3. [책읽는 상하이 265] 우리는 비..
  4. [책읽는 상하이 266] 발자크와 바..
  5. [책읽는 상하이 266] 발자크와 바..

오피니언

  1. [상하이의 사랑법 20] 문장 안의..
  2. [Jiahui 건강칼럼] 겨울에 흔한..
  3. [중국인물열전 ③] 현대미술의 대가,..
  4. [박물관 리터러시 ⑥] 저장성박물관..
  5. [허스토리 in 상하이] 뮤링정담:..

프리미엄광고

ad

플러스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