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바이두(百度)] |
중국인들이 본토 화장품 브랜드를 선호하면서 글로벌 코스메틱 브랜드 실적에도 영향을 미쳤다.
9일 매일경제신문(每日经济新闻)에 따르면 지난 7일 글로벌 최대 코스메틱 브랜드인 로레알의 2024년 실적이 공개되었다. 매출과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1%와 3.6%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유럽, 북미, 라틴아메리카. 중동 등의 신흥시장까지 4대 시장의 매출은 각각 지난 해보다 8.2%, 5.5%, 11%, 1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적 보고 결과 지난 해 유일하게 실적이 감소한 지역은 북아시아, 즉 중국이 메인인 시장이었다. 북아시아 지역 매출은 약 103억 300만 유로로 지난 해보다 3.2% 감소했다. 13년 만에 중국 시장 매출이 처음으로 감소했다.
로레알 측도 북아시아 시장 성장 둔화에 대해서 “관광 소비 부진 등으로 중국 현지 뷰티 시장 매출이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니콜라 이에로니무스 로레알 CEO는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으로 중국 소비자들은 더욱 가치에 집중하기 때문에 고급 시장에서의 성과가 부진하다”라고 말했다. 매출은 감소했지만 2025년에는 중국 시장에 대해 다양한 시도를 통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할 것을 예고했다.
중국 시장 부진은 로레알뿐만은 아니다. 4일 저녁 20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한 에스티로더 그룹 역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매출이 감소했다. 에스티로더는 “이번 아시아 태평양 지역 매출 감소 원인은 한국과 중국의 구매력 감소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에스티로더는 중국 고급 시장에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중국 시장으로 인해 전체 실적이 영향을 받았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글로벌 브랜드 부진의 가장 큰 이유로 중국 본토 브랜드의 열풍이 꼽히고 있다. 현재 중국 브랜드 중 가장 인기 있는 부동의 1위는 프로야(PROYA, 珀莱雅)로 텐마오와 틱톡 플랫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한슈(韩束)는 틱톡 2위, 커푸메이(可复美)는 3위를 달리고 있다. 지난 10월 텐마오 스킨케어 부분 프로야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00%, 커푸메이는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화장 부문에서는 차이탕(彩棠)이 900% 이상 성장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민정 기자
플러스광고
[관련기사]
전체의견 수 0
Today 핫이슈
가장 많이 본 뉴스